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

전세대출 이자 계산기 매월 내는 금액 알아볼게요

by 부동산알림이 2022. 1. 13.

 

전세 가격의 상승과 전세대출이 금리가 저렴하면서 한도가 높게 나오기 때문에 청년은 물론 신혼부부까지 전세대출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작년부터 금리가 상승하여 매월 부담하는 이자 또한 높아졌는데요. 오늘은 이자를 계산하여 자금계획을 잡아 보는 게 어떨까요?

 

 

주택담보대출이 상승하면서, 전세자금대출까지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다행히 고정금리로 받은 분들이라면 괜찮지만, 대부분 변동금리를 적용한 상품을 받기에 금리가 상승하는 만큼 매월 이자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올해는 한 번 더 금리 상승이 있을 거라는 예상이 있기 때문에 미리 계산하여 준비를 하길 바랍니다.

 

 

 상환 방식 - 원리금 균등, 원금 균등, 만기일시, 체증식

먼저, 전세대출 계산기를 알아보기 전 상환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원리금 균등 - 원금과 이자를 매월 같은 금액으로 나누어 갚아가는 방식
  • 원금 균등 - 원금을 융자기간으로 나눈 할부 상환금에 월별잔고 이자를 합산하여 상환하는 방식
  • 만기 일시 - 융자 기간 동안 이자를 납부하고 만기일 때 원금을 일시납 하는 방식
  • 체증식 - 초기에는 상환액을 적게 하고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상환액이 증가하는 방식

전세대출의 경우 만기 일시 상환 방식을 이용하며, 매월 이자만 상환하는 상품이 대부분 입니다. 하지만, 작년에 원리금 상환으로 바뀔 수도 있다라는 이야기 나왔지만, 아직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전세대출 이자 계산기로 계산을 해볼게요

전세대출의 경우는 만기일시 상환을 하기 때문에 계산기로는 만기일시 상환만 작성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방식은 계산기를 통해서 계산해 보길 바랍니다.

조건은 대출금액 1억 원, 대출기간 24개월, 연이자 4%를 적용하여 계산을 하였습니다.

 

만기 일시 상환은 이자만 납부하기 때문에 어려운 계산 방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단순하게

대출금액 * 연 이자 / 12입니다. 12로 나누는 이유는 연 이자라서 1년 기준으로 계산을 합니다.

2년 동안 총 납부하는 이자는 800만 원이며, 월 납부액은 333,333원입니다.

 

원리금 균등, 원금 균등 상환은 대부분 주택담보대출에 이용되는 상환 방식입니다.

 

전세대출 이자 계산기 사이트는 하단의 링크를 통해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기

 

간단한 계산 방법과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금리가 높아지는 만큼 계산이 꼭 필요할 듯합니다. 무리한 금액은 생활을 힘들게 하니 본인 자금 상황에 맞추어서 금액도 적당히 받는 게 좋습니다.

댓글